윈도우를 사용하는 컴퓨터에서 작동하는 모든 프로그램은 설정 사항을 고를 수 있는 경우 이 설정 사항이 저장되는 고유의 방식이 있습니다. 크게 세가지 방식이 특정되는데요.
(1) 램에 저장됨
(2) 특정 디렉토리에 저장됨
(3) 레지스트리에 저장됨
이 세가지 방식을 잘 이해한다면 문제가 있게 될때 프로그램을 삭제하고 재설치할때 요령을 더 잘 살펴볼 수 있게 됩니다.
보통 프로그램을 삭제하면 (1), (2), (3)에 해당되는 설정 사항도 지우는게 일반적인 상식인데요. 프로그램에 따라서는 안지울 수도 있습니다. 이유는 프로그램 재설치시 전에 했던 설정을 복구하기 위함이거나 오류가 발생해서 안지워지는 것일 수 있네요.
완전하게 설정 사항까지 지우려면 (1), (2), (3)에 해당되는 작동 방식을 특정해서 조치를 해야 합니다.
(1)은 삭제후 재부팅을 해보면 좋구요.
(2)는 프로그램마다 설치되어 작동하는 디렉토리와 부수적으로 생성된 디렉토리를 지우면 좋구요.
(3)은 레지스트리에서 삭제가 안된 설정 항목을 지우는 것입니다.
(2)의 경우 윈도우에서는 Program Files 디렉토리만 주로 알려져 있지만, 유저 홈디렉토리 아래 AppData 라고 된 숨겨진 디렉토리의 특정 하위 디렉토리와, 유저 홈디렉토리에 숨겨진 디렉토리로 된 다른 디렉토리도 지워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3)은 디렉토리에 비해 더 잘 안알려져 있을 가능성이 큰데요. 보안을 목적으로 암호화된 방식으로 저장되기도 하고, 잘 안알려져 있는 정보일 가능성이 커서입니다. 이 경우에도 레지스트리에 남아 있는 설정 사항을 지워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어판에서 프로그램 삭제후 수동으로 이 세가지 방식에 대응되는 조치가 잘 이루어졌다면 설정이 완벽하게 지워져서 바라는 결과가 얻어집니다.
요즘은 클라우드 시대라, (4)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설정 항목도 지우는 조치도 있을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1)부터 (4)까지 할때는 백업을 해두고 하거나 완전하게 잘 아는 경우에만 하는게 좋을 수 있을 것입니다. 잘못 지워버리면 다른 프로그램의 기능도 망가질 수 있으니까요.
프로그램이 문제가 생겨서 삭제후 재설치할때 이 글에서 언급한 지식이 있으면 더 잘 고칠 수 있을 것입니다.